천명 (후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명은 1616년 후금이 건국된 후 사용된 연호이다. 누르하치가 후금을 건국하고 천명을 연호로 정했으며, 1626년까지 11년간 사용되었다. 천명 연호 기간 동안 후금은 7대 한을 발표하고 명나라를 공격했으며, 사르후 전투에서 승리하고 심양과 요양을 공략했다. 1626년에는 산해관 공격에 실패하고 누르하치가 사망하면서 천총으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천명 (후금) | |
---|---|
기본 정보 | |
![]() | |
사용 기간 | 1616년 ~ 1626년 |
국가 | 후금(後金) |
군주 | 천명제 누르하치 |
설명 | 후금 천명제 시기에 위치한 천명 |
한글 | 천명 |
한자 | 天命 |
중국어 | 天命 |
한어 병음 | TiānMìng (톈밍) |
일본어 | 덴메이 |
베트남어 | Thiên Mệnh (티엔메인) |
몽골어 | 텡그린 술데투 |
몽골 문자 | ᠲᠡᠭᠷᠢ ᠶᠢᠨ ᠪᠣᠰᠣᠭᠲᠣ (Tengri-yin Süldetü) |
만주어 | ᠠᠪᡣᠠᡳ ᡶᡠᠯᡳᠩᡤᠠ (Abkai Fulingga) |
2. 연호 제정
1616년(병진년) 음력 1월 1일(그레고리력 2월 17일) 누르하치는 후금을 건국하고 연호를 '''천명'''(天命)으로 정하였다.[1][2][3][4]
1616년, 누르하치는 후금을 건국하고 연호를 천명으로 정했다.[1] 1618년 7대 한을 발표하고 명에 대한 공격을 결정했으며,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명에 압승했다.[2] 1621년에는 심양 및 요양을 공략했다.[3] 1626년 산해관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누르하치가 사망했다.[4]
1626년(병인년) 음력 9월 1일(그레고리력 10월 20일) 연호를 천총(天聰)으로 변경하였다.[5][7][8][4]
3. 주요 사건
3. 1. 명나라와의 관계
명와의 관계는 7대 한 발표와 사르후 전투를 기점으로 크게 변화했다.
누르하치는 천명 3년(1618년)에 7대 한을 발표하고 명나라에 대한 공격을 결정했다.[1] 이는 명나라에 대한 적대감을 공식적으로 드러낸 사건이었다.
천명 4년(1619년), 후금은 사르후 전투에서 명나라 군대에 대승을 거두며 세력을 확장했다.[2] 이 승리는 후금의 군사적 역량을 과시하고, 명나라와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천명 6년(1621년), 후금은 심양과 요양을 공략하며 영토를 확장했다.[3]
천명 11년(1626년), 후금은 산해관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4] 이는 명나라의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3. 2. 기타
1626년, 누르하치가 사망했다.[1]
4. 연대 대조표
천명 | 서기 | 간지 | 명나라 연호 |
---|---|---|---|
원년 | 1616년 | 병진 | 만력 44년 |
2년 | 1617년 | 정사 | 만력 45년 |
3년 | 1618년 | 무오 | 만력 46년 |
4년 | 1619년 | 기미 | 만력 47년 |
5년 | 1620년 | 경신 | 만력 48년 태창 원년 |
6년 | 1621년 | 신유 | 천계 원년 |
7년 | 1622년 | 임술 | 천계 2년 |
8년 | 1623년 | 계해 | 천계 3년 |
9년 | 1624년 | 갑자 | 천계 4년 |
10년 | 1625년 | 을축 | 천계 5년 |
11년 | 1626년 | 병인 | 천계 6년 |
5. 동시대 연호
태창 원년